알레르기는 우리 몸 속에서 일어나는 면역반응의 한 종류로서 보통 사람에게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 어떤 이물질에 대하여 특이하게 발생하는 이상 과민 면역반응입니다. 알레르기 질환은 현재 우리나라 성인의 약 10%, 어린이의 약 20% 이상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서구화된 생활 환경, 공해, 화학물질에 노출이 많아져서 점차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이러한 알레르기 질환은 발생 부위에 따라 알레르기성 비염(코), 천식(기관지), 알레르기성 결막염(눈), 아토피성 피부염(피부), 두드러기 등으로 나눕니다. 알레르기 질환은 전신질환이기 때문에 혈압, 당뇨와 같이 꾸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조기폐암검진 및 폐렴, 기관지천식, 폐기종, COPD, 기관지확장증, 독감, 만성기침, 객혈, 결핵 등 다양한 호흡기 질환에 대한 진단과 치료를 하고있습니다.
꽃가루 | 나무, 잔디, 두드러기쑥등 |
집먼지 | 곰팡이, 먼지, 집먼지진드기 |
절지동물 | 집먼지진드기, 새우, 게, 바퀴벌레 등 |
동물 | 고양이, 개의 비듬과 털, 고양이침, 쥐뇨 등 |
음식물 | 바다가재, 우유, 달걀흰자, 옥수수, 복숭아, 초콜릿,땅콩, 딸기, 건강식품, 식품첨가물, 방부제, 식용색소 등 |
물리적 | 찬 온도, 햇볕, 압박, 더위, 문지름, 방사선 등 |
기타 | 니켈, 크롬, 금속, 고무, 가죽, 화장품, 향수, 세제, 액세서리, 페니실린주사, 혈관조영제 등 |
정서적 요인 | 정서적 요인이 천식의 악화와 관련됩니다. |
내분비성 요인 | 아스피린 |
기타 | 천식은 사춘기에 호전되나 월경전이나 임신, 폐경기에 악화되는 양상을 보입니다. |
운동 | 운동(달리기, 자전거타기 등)으로 차고 건조한 공기를과호흡함으로써 천식이 유발되며 특히 소아천식환자의 70-80%에서 동반됩니다. |